최저임금 계산법|주휴수당·월급 실수령액 확인
💡 왜 계산법을 알아야 할까?
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입니다. 하지만 단순히 시급에 근무시간을 곱해서 월급을 계산하면 큰 착오가 발생합니다. 주휴수당, 공제액, 추가수당 등 실제 입금액과 차이가 생기기 때문입니다. 알바생, 직장인, 사장님 모두 꼭 알아야 하는 실전 계산법을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.
✅ 1. 주휴수당, 꼭 챙겨야 합니다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일하면 받을 수 있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. 예를 들어 주 5일, 하루 4시간 일하면 시급 × 4시간 × 5일뿐만 아니라 시급 × 4시간의 주휴수당이 추가됩니다. 즉, 주휴수당은 실수령액을 크게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.
✅ 2. 월급 실수령액 계산법 완전 분석
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: 10,320원 × 209 = 2,156,880원. 하지만 4대 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) 약 9%, 소득세·지방세 약 1%를 공제하면 실수령액은 약 1,950,000원~2,000,000원 사이로 내려갑니다.
✅ 3. 실전 예시로 이해하기
예: 시급 10,320원, 주 20시간 근무 시 - 주급: 10,320원 × 20시간 + (10,320원 × 4시간 주휴수당) ≈ 247,680원 - 월급: 약 990,720원, 공제 후 약 900,000원대. 많은 알바생이 ‘주휴수당 빼고 계산’하거나 ‘공제 전 금액만 계산’해 실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✅ 4. 알바생이 놓치기 쉬운 함정들
특히 명세서 발급은 2021년부터 의무화되었습니다. 알바생이라도 꼭 받아야 하며, 공제·지급 내역을 확인할 권리가 있습니다.
✅ 5. 사장님 인건비 계산, 이것까지 봐야
시급, 주휴수당, 4대 보험 사업주 부담분, 퇴직금 적립분까지 포함해야 정확한 인건비가 나옵니다. 예: 주 40시간 알바 월 240만 원 지급 시 사장님이 부담하는 총액은 약 270만 원. 이를 모르고 고용했다가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✅ 6. 자주 묻는 Q&A
Q. 주휴수당은 언제 발생하나요?
A. 주 15시간 이상, 1주일 개근 시 발생합니다.
Q. 4대 보험 공제액은 얼마인가요?
A. 월 급여의 약 9%로, 건강보험료 인상 시 변동됩니다.
Q. 최저임금 계산 앱 추천?
A. 네이버, 고용노동부, 알바몬 앱에서 무료 제공됩니다.
✅ 7. 최종 체크리스트
작은 차이가 한 달, 일 년 뒤엔 큰 차이를 만듭니다. 미리 계산하고 대비하세요!